top of page

최태순 (보유자)

최정욱 (전승교육사)

경기도무형문화재 제30-2호 악기장_현악기
지정년월일  1999년 10월 18일

악기장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악기를 만드는 공예기술로 경기도에서는 북메우기와 현악기장을 악기장으로 지정하고 있다. 거문고, 가야금과 같은 아주 협의(狹義)의 현악기(絃樂器)만을 가리켜 악기라고 한 것은 조선시대의 기록에 이들 현악기 제작자를 풍류장(風流匠)이라 일컬었던 데서 연유한다. 뿐만 아니라 이들 현악기는 정악(正樂)에서는 물론 선비의 서재와 연악(宴樂)의 자리에 서도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왔던 한국 전래의 독특한 악기들이다.

5~6세기 고구려에서 발달된 것으로 전하는 거문고는 고정된 괘 위에 6현(絃)을 걸었는데 음이 장 중한 편이다. 그 소리에 검은 학이 모여 들었다 하여 현학금(玄鶴琴), 현금(玄琴)이라 일컫기도 한다.

반대로 가야금(伽倻琴)은 같은 무렵에 남쪽 가야에서 만들어냈는데 현이 12줄이나 되며 이동식 안족(雁足)으로 음을 조절한다. 그 소리가 여성다워 많은 일화를 남겼는데 현재는 개량형의 산조 (散調) 가야금이 보급돼 있다. 이들 현악기의 공통점은 몸체를 주로 오동나무를 깎아 다듬는데 비 전(秘傳)의 솜씨가 있다. 거문고와 산조가야금은 오동판 밑에 밤나무를 덧대고 있으나 옛 가야금 은 오동나무 속을 파내어 만들었다. 현은 명주 실을 합사해 꼬아서 쓴다.

경기도무형문화재  제30-2호 악기장_현악기

산조 가야금, 거문고
bottom of page